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마귀: 살인자의 외출 - 드라마 공개 일정, 시놉시스, 관전 포인트

by 영화 드라마 리뷰어 cosy 2025. 9. 5.

사마귀 : 살인자의 외출

SBS 금토드라마 《사마귀: 살인자의 외출》 공개 일정 및 제작 배경

SBS 금토드라마 《사마귀: 살인자의 외출》은 2025년 9월 5일 금요일, 오늘 밤 9시 50분 첫 방송이 확정되었습니다.

배우 고현정이 ‘사마귀’라는 별명을 얻은 연쇄살인마 정이신 역으로 8년 만에 SBS 드라마에 복귀하며 방영 전부터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특히 고현정은 과거 2018년 리턴의 논란 이후 오랜만의 SBS 복귀이기에, “오랜만에 작품으로 인사를 드리고, 그 작품이 ‘사마귀’여서 즐겁고 기분이 좋다”라고 밝히며 각별한 감회를 전했습니다.

연출은 영화 화차를 연출한 변영주 감독, 각본은 서울의 봄을 집필한 이영종 작가가 맡아 초호화 제작진 구성을 자랑합니다.

제작발표회 현장에서 변 감독은 “엄마 때문에 아들이 고통받는 이야기”, “피해자가 없기를 바라는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작품의 정서를 정의하며, 단순 범죄극을 넘어 정이신과 차수열의 심리적 갈등과 공조를 중심으로 한 고밀도 범죄 스릴러임을 강조했습니다.

이처럼 주연 배우의 파격 복귀, 탄탄한 제작진, 그리고 긴장감 있는 줄거리 구조는 공개일 전부터 드라마에 대한 기대를 더욱 높이고 있는 요인입니다.

 

 

 

《사마귀: 살인자의 외출》 시놉시스

《사마귀: 살인자의 외출》은 연쇄살인마 ‘사마귀’ 정이신(고현정 분)이 잡힌 지 20여 년 후, 모방 살인 사건이 발생하면서 시작됩니다.

평생 증오해왔던 자신의 모친인 정이신이 바로 ‘사마귀’였음을 알게 된 형사 차수열(장동윤 분)은, 사건 해결을 위해 예상치 못한 공조 수사에 나서게 됩니다. 이 복잡한 관계의 중심에는, 피해자를 줄이고자 하는 사람들과, 모자 관계의 감정적 충돌이 자리합니다.

변영주 감독은 “가해자의 이야기가 아닌, 피해자가 없길 바라며 만든 작품”이라면서, 범죄 스릴러를 넘어 인간과 관계, 상처에 대한 내면적 연민을 조명하고자 했다는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고현정이 연기할 정이신은, 철저히 은폐되어 있어 인터넷 속 음모론으로만 전해졌던 인물로, 처절한 냉혹함과 인간적인 원인을 동시에 탐색하는 복합적인 캐릭터입니다. 고현정은 “얼마나 잔인하게 죽일 것인가 보다, 왜 살인하게 되었는지를 보는 것도 흥미 포인트”라며, 캐릭터 내면 탐구에 방점을 찍었습니다. 그리고 차수열은 모자로서의 갈등, 증오, 그리고 공조를 통한 성장이라는 감정적 여정을 겪는 인물입니다.

 

제작발표회에서 공개된 무빙 포스터는 이 극과 극 대비를 시각적으로 강렬하게 표현했습니다.

고현정은 처음엔 청순한 뒷모습이었지만, 이내 섬뜩한 눈빛으로 전환되며 “피 냄새? 난 좋아…”라는 소름 유발 내레이션을 던집니다. 장동윤은 형사 차수열로서의 결의에 찬 모습과 함께, “그 여자 우리 돕는 거 아닙니다. 이용하는 거예요”라는 대사를 통해 갈등의 예고를 보여줬습니다. 요약하자면, 이 드라마는 모방 범죄 + 모자 관계의 심리 공조 + 범죄 스릴러적 긴장감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스토리로, 단순 추적극 이상의 깊이를 가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비슷한 작품과 관전 포인트

비슷한 작품 비교

먼저, 한국 드라마 중에서는 모자 관계의 범죄 공조라는 드문 설정이 사마귀를 독보적인 위치에 올려놓습니다.

해외에서는 예를 들어 《마인드헌터 (Mindhunter)》나 《트루 디텍티브 (True Detective)》처럼 범죄자의 심리와 수사관의 관계에 초점을 둔 내면적 범죄 스릴러들이 유사 구조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 드라마 《마더 (Mother)》 등에서 모성의 복잡한 심리를 조명한 사례를 떠올릴 수 있지만, 사마귀는 여기에 범죄 스릴러 요소가 강조된 점이 차별적입니다.

 

관전 포인트

- 고현정의 파격 변신

: 청순함과 잔혹함, 인간적 설득력과 공포 감정을 넘나드는 ‘정이신’ 역에서의 연기 스펙트럼을 목격하는 것 자체가 관전 포인트입니다.

 

- 모자(母子)의 공조 수사

: 증오와 사랑, 배반과 공조 사이에서 요동치는 차수열과 정이신의 관계 변화를 따라가는 긴장감이 핵심입니다.

 

- 제작진의 역량

: 화차의 변영주 감독이 연출하고, 서울의 봄 이영종 작가의 섬세한 필력이 결합되어 심리 밀도와 스릴이 더해진 높은 완성도를 기대하게 합니다 .

 

- 시각적·정서적 임팩트

: 무빙 포스터와 제작발표회 클립이 전달하는 섬찟함과 몰입감은 미리 화면 너머로 전해지는 긴장감을 자극합니다